본문 바로가기

문화이야기/영화이야기

[명량 후기] 난중일기를 통해 본 실제역사와 영화 명량 후기

 

영화 <명량> 라는 표시가 된 부분은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역사를 배경으로 한 영화를 만들 때 고증이라는 부분은 영화의 완성도에 있어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지나치게 세밀할 경우 영화의 제작비가 상승하고 극적 재미가 떨어지는 반면, 그 고증을 너무 무시하면 역사극이 아닌 판타지가 되어버리는 우를 범하게 되기 때문이죠.

 

 

 영화 <명량>은 세계 4대 해전으로 불리는 <한산도 대첩>이후 울돌목(한자어 명량:鳴梁)에서 단 13척(실제 운용 12척)의 배로 130척 (난중일기 친필 초고본, 이충무공 전서본에는 330척)의 왜선을 격퇴한 전투를 그려내고 있습니다.  (실제 전선만 130척이고 보급선이 200척이라는 설과 그 이상이라는 설 등이 있음)

 

 이 전투로 조선 수군은 단 한 척의 손실도 없이 왜선 30여척을 격침시켰고, 전투 이후 서해로 후퇴를 하긴 했지만 일본 수군의 금강과 한강으로의 진입을 막아 수륙병진작전을 꾀하던 일본의 야욕을 완전히 꺽어버리게 됩니다.

 

 

ⓒ CJ 엔터테인먼트, 다음영화

 

330여척의 거대한 적 앞에 전투 의욕을 잃어버린 조선 수군

 

 당시 조선은 이순신 장군이 서인의 모함으로 파직당한 이후, 원균이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지휘한 칠천량전투에서 대패하며 수군 전력의 대부분을 상실하게 됩니다. 이에 선조는 다급히 이순신 장군을 삼도수군통제사로 복직시키지만, 이미 조선의 수군은 궤멸상태에 이르며 제해권을 상실하게 됩니다.  

 

왕은 이른다. 오호라! 국가가 의지하여 방패로 삼는 것은 오직 수군이거늘, 하늘이 재앙을 거두지 않으사 흉악한 칼날이 다시 번뜩여 마침내 삼도의 대군이 한 번 싸움에서 다하고 말았도다. 이후로 바다 가까운 성읍은 누가 지키겠는가? 이미 한산을 잃었으니 적이 무엇을 꺼리겠는가? …… 지난번에 경의 직책을 빼앗고 그대로 하여금 죄를 짊어지도록 한 것은 역시 과인의 모책이 미덥지 못함에서 나온 것이었으니, 무슨 말을 하리오. 무슨 말을 하리오. …… 그대는 충의로운 마음을 굳건히 하여 우리의 나라 건지길 바라는 소망에 부합하라. 고로 이 교지를 내리니 그대는 헤아려 알라. 『이충무공전서』, 「상중에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를 제수하는 교서(起復授三道統制使敎書)」

 

하지만, 이순신 장군은 담담히 무너진 조선 수군을 수습하며 선조에게 다음과 같은 장계를 올립니다.

 

임진년부터 5·6년 간 적이 감히 호서와 호남으로 직공하지 못한 것은 수군이 그 길을 누르고 있어서입니다. 지금 신에게 아직 열두 척 전선이 있사오니 죽을 힘을 내어 막아 싸우면 이길 수 있습니다. 지금 만약 수군을 모두 폐한다면 이는 적들이 다행으로 여기는 바로서, 말미암아 호서를 거쳐 한강에 다다를 것이니 소신이 두려워하는 바입니다. 전선이 비록 적으나 미천한 신이 죽지 않았으므로 감히 우리를 업신여기지 못할 것입니다. 『이충무공전서』, 이분, 「행록」 

 

그 당시 조선 수군은 12척의 <판옥선>만 남아있었고(이후 한 척 합류), 제대로된 보급과 훈련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장수와 병사들의 사기는 떨어질대로 떨어진 상태였습니다. 330여척의 적을 둔 조선 수군 진영에서는 거대한 적에 대한 두려움으로 병사들의 탈영이 줄을 이었고, 지휘관인 경상우수사 <배설>마저 도망을 가는 지경에 이르게 됩니다. 

 

ⓒ CJ 엔터테인먼트, 다음영화

 

 한편, 영화 <명량>에서는 육군으로 합류하라는 선조의 명을 따르지 않는 이순신 장군에 대한 불만과 왜와의 전투에 두려움을 품고 있는 경상우수사 <배설>이 남아있는 거북선을 불태우고 이순신을 암살하려다 실패해 결국 화살에 맞아 죽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지만, 이 부분은 실제 역사에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실제 역사에서의 <배설>은 몰래 진영을 탈출한 2년뒤인 1599년 선산에서 붙잡혀 효수를 당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이렇게 무너진 조선 수군의 군율을 다시 세우고, 군기를 수습하기 위해 조선 수군을 향해 역사에 길이 남을 명연설을 하게 됩니다.

 

 병법에 이르기를 죽고자 하면 살고, 살고자 하면 죽는다(必死則生 必生則死)고 했으며, 또한 한 사람이 길목을 지키면 천 명도 두렵게 할 수 있다(一夫當逕 足懼千夫)고 했는데 이는 오늘의 우리를 두고 이른 말이다. 그대들 뭇 장수들은 살려는 마음을 가지지 말라. 조금이라도 군령을 어긴다면 즉각 군법으로 다스리리라! - 이순신,『정유일기』 9월 15일

 

 

 

ⓒ CJ 엔터테인먼트, 다음영화

 

 

12척 VS 330척의 실로 천행과 같은 전투

 

 당시 일본 수군은 한산도대첩을 비롯한 일련의 해전에서 잇따른 패배로 이순신 장군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나, 조선 수군의 함선이 12척에 불과 하다는 점과 왜장 구루지마 ( 류승룡 분)가 해적 출신으로 조류가 빠른 지역(일본의 시코쿠(四國)의 미야쿠보 지역)에 능한 장수라는 점을 앞세워 순류를 타고 울돌목을 향해 진격을 하게 됩니다. (조선 수군의 입장에서는 역류)

 

9월 16일, 맑다.
이른 아침에 별망(別望)이 나아와 보고하길, "수없이 많은 적선들이 곧장 우리 배를 향해 옵니다."라 하였다. 바로 뭇 전선에 명하여 닻을 들고 바다로 나아가니, 적선 130여 척이 아군의 뭇 전선을 에워쌌다. 여러 장수들은 저마다 중과부적이라 판단해 돌아서 피할 궁리만 했고, 우수사 김억추는 물러나 아득히 멀리 있었다.

 

내가 노질을 재촉해 앞으로 돌격하며 지자포 현자포와 각종 총통들을 어지러이 쏘아대니 마치 바람과 번개 같았고, 군관들이 배 위에 서서 화살을 비처럼 어지러이 쏘아대니 적도들이 감히 대적하지 못하여 다가왔다가 물러나고는 했다. 그러나 몇 겹으로 포위되어 있어서 전세가 어찌 될 것인지 예측할 수가 없었다. -
 이순신, 『정유일기』 9월 16일

 

 이때 영화 <명량>에서는 이순신 장군의 기함이 홀로 적과 싸우며 백병전을 벌인 것으로 표현되고 있는데, 실제 역사에서도 적의 기세에 겁을 먹은 다른 장수들이 전장에서 물러나 있어 개전 초기 이순신 장군의 대장선 홀로 적과 대치하며 싸운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다만 실제 이순신 장군이 선상에서 칼을 들고 싸움을 할 정도의 백병전이 벌어진 것은 아니고, 포와 화살을 이용한 근접전이 벌어졌던 것으로 보입니다.

 

뭇 장선(將船)들을 돌아보니, 물러나 먼 바다에서 관망하며 나아가지 않고 배를 돌리려 하고 있었다. - 이순신, 『정유일기』 9월 16일

 

 이에 이순신 장군은 초요기(招搖旗)를 올리며 장수들의 참전을 재차 명령하였고 그제서야 거제현령 <안위>와 중군장 <김응함>등이 전투에 참여하며 명량 해전은 본격적으로 함대함 전투가 벌어지게 됩니다. 다만 전라우수사 <김억추>는 끝까지 전투에 참여하지 않고 후방에 머물며 도망갈 기회를 옅보게 됩니다.

 

너는 중군이 되어서 멀리 피해만 있고 대장을 구하지 않았으니, 죄를 어찌 면하겠느냐! 당장이라도 처형하고 싶지만 적의 기세가 또한 급하므로 우선 공을 세우게 하겠다! - 이순신, 『정유일기』 9월 16일

 

 이 때 오후 12시가 지나며 바닷물이 역류하기 시작했고, 바닥이 날렵해 회전 속도가 느리면서 반경이 큰 배를 가진 일본 수군은 좁은 울돌목 수로의 거친 조류에 밀려 서로 부딪히며 깨어져나가기 시작합니다. 한편, 바닥이 평평하여 회전이 빠르며 사정거리가 긴 포를 가진 조선 수군은 상대적으로 화력이 약한 일본 수군에 집중 포격을 가하며 함선들을 격침시켜 나갔고, 일본의 선봉장이었던 구루지마를 사살하여 뱃전에 걸어 두는 등의 전과를 올리며 결국 명량해전에서 승리하기에 이릅니다.

 

적선 30척을 깨부수자 적선들이 물러나 도망치니, 다시는 아군에게 접근하지 못했다. 이는 실로 천행이었다.(此實天幸) - 이순신, 『정유일기』 9월 16일

 

 이순신 장군 마저 천행(天幸)이라 평가했던 이 전투는 그 만큼 어려운 상황 속에서 벌어진 전투였지만, 울돌목이라는 좁은 지형에 진을 치고 급격한 조류를 이용했다는 점과 중거리 포격 위주의 대형 함선인 조선 수군의 <판옥선>을 백병전 위주의 일본 중형 전투선(세키부네)들이 공략하기 어려웠다는 점, 그리고 죽음을 각오한 (必死則生 必生則死) 조선수군의 정신력이 결합된 승리로 이를 단순한 요행에 따른 승리로 평가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습니다.

 

 

ⓒ CJ 엔터테인먼트, 다음영화

 

 

영화 명량 후기 - 역사에 너무 많은 양념을 치다.

 

 영화 <명량> 보면서 가장 많이 아쉬웠던 점은 영화의 극적 재미를 위해 역사에 너무 많은 양념을 치려했다는 점입니다. 특히, 한국영화 특유의 감동 코드를 넣기 위해 긴박한 전투 한 가운데, 이야기의 호흡을 달리하는 장면, 진구(임준영 역 - 실존인물, 당시 척후군관)가 폭발물이 실린 배 위에서 죽어나가며 말을 하지 못하던 진구의 부인 이정현(정씨 여인 역-가상인물)씨에게 이순신 장군을 구하기 위해 신호를 보내라 부탁하는 부분 등은 감동을 강요하는 것 처럼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또한 왜장인 준사 (俊沙, 오타니 료헤이 분- 실제 역사 인물)가 아무런 설명 없이 이순신 장군 옆에 갑자기 등장하는 부분(편집에서 들어낸 느낌), 수군의 해전 장면에 영화적 각색이 많이 들어가 마치 현대의 고속정이 움직이는 것과 같이 느껴지는 부분 등은 연출상 필요와는 별도로 아쉬움이 많이 남는 장면이었습니다.  

 

 차라리 담백하게 <명량해전>을 재구성 했다면, 이순신 장군의 지략과 수군의 싸움에 좀 더 많은 집중을 하고, 진구나 이정현씨가 맡은 캐릭터에 대한 분량 할애 대신 이순신 장군의 인간적인 고뇌와 적장인 구루지마 (류승룡 분)의 캐릭터에 깊이를 더하는 등 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을 입체적으로 그려냈다면 영화는 어떤 방향으로 흘러갔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기도 합니다.

 

ⓒ CJ 엔터테인먼트, 다음영화

 

 

 

영화 명량 후기 - 영화 <명량>은 1000만 관객을 모을 수 있을 것인가?

 

 영화 <명량>은 최민식씨의 카리스마 가득한 연기와 민족의 영웅 이순신 장군을 그렸다는 점, 그리고 바다를 배경으로한 블록버스터급 해전 사극 영화라는 점에서 엄청난 초반 흥행 돌풍이 예상됩니다. 다만, 영화 <명량>을 기다려 온 관객들의 기대치가 너무나 높았다는 점에서 그 흥행돌풍이 천만 관객 돌파라는 흥행 성공으로까지 이어질지는 의문이 남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총 3편의 시리즈로 계획되었다는 영화 <명량>의 완성도 높은 후속작 제작을 위해 더 많은 분들이 이 영화를 관람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명량 (2014)

8.4
감독
김한민
출연
최민식, 류승룡, 조진웅, 김명곤, 진구
정보
액션, 드라마 | 한국 | 128 분 | 2014-07-30
글쓴이 평점